동서양격자도시의 기원과 변천 - 연재 내용 > 연구실 동향

본문 바로가기


동서양격자도시의 기원과 변천 - 연재 내용 > 연구실 동향

동서양격자도시의 기원과 변천 - 연재 내용

도윤수 2003-04-25 (금) 21:28 20년전 2957  
건축잡지 월간 <<POAR>>에
지난 1월부터  <동서양격자도시의 기원과 변천>
이라는 연중 기획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현재 4회까지 연재 되었으며 9월에 연재가 끝날 예정입니다.

그 연재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대문명(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도, 중국 등 주요 문명의 발생지)과 도시의 출현(2월)
  고대문명사적 관점으로 주요 문명의 내용을 서술하고 새로운 문명의 탄생과 도시의 기원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집단적 도시문화, 신앙관, 국가관 등등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한편, 개략적인 비교표를 통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또한 문명교류사(해상, 육상의 실크로드), 문화인류학의 관점으로 도시문명의 전파경로를 추적한다.

2. 7세기에 나타난 동북아시아의 도시의 상호관계(15세기 후반, 동남아시아의 도시들)(4월)
  주례 고공기의 개념과 특징, 이를 기반으로 한 도시들에 대한 개략적인 서술과 주례 고공기를 수용하게 된 시대적인 상황을 살펴보며, 구체적으로 장안, 경주, 평성경 사이의 상관관계와 다른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영향(태국북부 치앙마이, 버마 만달래이, 캄보디아 등)은 어떠한지 서술한다.

3.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의 도시와 만다라(5, 6월)
  무굴제국의 힌두 만다라와 만다라적 도시계획지침서에 대한 분석을 하고, 같은 시기 인접지역인 동남아 국가들의 도시계획과의 상관관계를 서술한다.

4. 서양격자도시의 확산

4-1 그리스 로마의 식민도시 개척(7월)
서양의 격자도시의 발전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그리스 문명의 통합을 통해 로마라는 국가로부터 시작되며, 이러한 영향들은 르네상스 이후에 발전된 상업도시와 신항로 개척 이후에 건설된 식민도시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소개한다.

4-2 서양제국주의의 팽창과 격자도시(8월)
르네상스 이후, 신항로의 개척과 과학의 발전이 가져온 서구제국주의의 팽창을 서술하고 이들 국가들이 현지에 건설한 식민 도시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며, 이들 식민도시에서의 격자도시의 의미는 어떠한 성격으로 뿌리내리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5. 연재를 마치면서(9월)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에서 격자도시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현실적으로 어떠한 도시의 형태가 우리에게 바람직한 모습이며 향후 대두될 통일수도의 모습에 대하여 개괄적인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제작 참여진과 도시역사 관련 전문가들의 좌담회를 갖고 얻어진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과학기술관 705호 (Tel. 02-2220-0319 | E-mail. dsharn@hanyang.ac.kr)

#705, Science & Tech. BD., Hanyang Univ. 222, Wangsimni-ro, Sungdong-gu, Seoul 133-799, Korea 개인정보 처리방침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