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추천도서 1 페이지
제목
풍류의 류경, 공원의 평양 [효형]
이선 저 | 2018 | 17000 원
1089
우리는 평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과거 천하제일강산이자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인 이 도시의 녹지 면적이 서울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배 이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한국전쟁 후 초토화된 평양 도시 재건 계획의 일환이었던 녹화 사업과 녹지 조성 과정에서 탄생한 평양의 공원은 유원지, 또는 유희장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평양 시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공원에서 피크닉을, 워터파크에서 물놀이를 즐긴다. 이 책은 평양 시민의 일상과 제일 가까운 ‘공원’이라는 공간을 들여다봄으로써 북한 사람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보기를 권한다. 정치적 수단인 동시에 귀중한 우리 문화유산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평양 시민의 휴식 및 오락 공간인 공원을, 이념적 잣대가 아닌 그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라는 생각에서 이 책은 출발했다.조경 전문가인 저자는 분단 전 평양의 유구한 역사와 평양만의 풍광을 만들어내는 다양한 조경 요소를 차근차근 짚어나간다. 특히 수년간 열성적으로 수집한 북…
다시 나무에게 배운다 [상추쌈]
오가아 미쯔오 구술, 시오노 요네마쓰 듣고 정리, 정영희 옮김 저 | 2014년 | 18000 원
1108
『다시, 나무에게 배운다』는 1300년 전 아스카 장인들의 기술과 지혜를 손에서 손으로 익히고, 물려 온 장인들, 궁궐목수들의 어제와 오늘. 그 내밀하고 살뜰한 풍경을 담았다. 호류지(法隆寺, 법륭사)의 마지막 대목장 니시오카 쓰네카즈. 그에게서 궁궐목수의 모든 것을 배우고 익힌 오가와 미쓰오. 궁궐목수가 되고자, 오가와 미쓰오가 꾸린 장인 집단 이카루가코샤에 모여든 젊은이들. 100년 가까운 시간, 삼 대에 걸쳐 숲 속의 나무들만큼이나 다양한 장인들이 펼치는 이음과 살림의 파노라마를 기록의 대가 시노오 요네마쓰가 듣고 엮었다.
광자의 탄생 [글항아리 | 출간]
류멍시 지음 | 한혜경, 이국희 옮김 저 | 2015년 03월 09일 | 15000 원
1169
『광자의 탄생: 중국 광인의 문화사』는 중국 문화사에서 좀처럼 담론화되기 어려운 ‘광狂’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각 시대별 ‘광’의 존재와 그 형상을 보여주는 책이다. 중국 문화 속의 광자정신은 크게 두 가지 맥락으로 짚어볼 수 있다. 하나는 ‘광’과 ‘견?’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자기만의 독자적인 시각으로 풀어낸 인물들이 있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남다른 관점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제로 광자의 독특한 삶을 몸소 실천해 보여준 인물들이 있어왔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중국 문화 속에 면면히 살아 숨 쉬고 있는 광자의 전통을 발굴하여 역사적인 맥락에 따라 정리한 이 책을 그대로 따라가다 보면 저마다의 느낌대로 광자정신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고문서 반납 여행 [글항아리]
아미노 요시히코 저 I 김시덕역 저 | 2018년 3월 14일 | 14000 원
1213
빚을 갚고 누명을 벗고자 혼자 떠난 고문서 반납 여행! 1945년 패전 후 일본 정부는 전국 농어촌에 잠들어 있던 고문서를 대량으로 수집해 사회사 자료관을 세우고자 했다. 하지만 재정난으로 인해 계획은 곧 좌절되었고, 연구원들은 제각기 먹고살 길을 찾아 흩어졌다. 시골 마을을 돌며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문서를 빌릴 때는 6개월이나 1년 안에 꼭 반납하겠다고 말했지만, 이건 지키지 못할 약속이었다. 그렇게 빌려온 문서들은 방치됐고, 세월은 그대로 계속 흘러갔다. 연구원 직을 잃고 1년 뒤 고등학교 선생이 된 아미노 요시히코는 어느 날 자신이 ‘문서 도둑’이 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따금 저자에게 문의 전화가 왔는데, 그건 낯 뜨겁게도 과거 빌려간 문서들이 왜 반납되지 않느냐는 내용이었다. 목에 가시가 걸린 듯한 세월, 저자는 마을마다 집집마다 문서를 돌려드리고자 사죄의 발걸음을 하게 되었다. 『고문서 반납 여행』은 저자가 빌린 고문서들을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주기 위해 …
여행, 길 위의 철학 [책세상]
마리아 베테티니/스테파노 포지 엮음, 천지은 옮김 저 | 2017년 4월 20일 | 16,800 원
963
철학과 가장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활동이 무엇일까? 독서나 사색, 대화처럼 정적인 것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겠지만, 놀랍게도 철학과 가장 닮아 있는 활동은 여행이다. 새로운 세계와 만나고 자신을 발견하는 데 여행만 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철학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흰 수염에 튜닉을 입고 도서관 같은 곳에 틀어박혀서 일부 학자들만 아는 어려운 개념어를 사용해서 형이상학적인 사유에 몰두할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실제 철학자들의 모습은 그렇지 않았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외국에 사는 현인을 만나기 위해 험준한 산을 넘고 거친 바다를 건너는 수고로움을 마다치 않았다. 신기하게도 생각이란 것은 꽉 막혀 돌파구가 보이지 않다가도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안 보이던 길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철학자들은 대부분 여행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가다듬고, 이를 세계 속에 펼쳐놓고 확인하기 위해 길을 나섰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지금 다시, 헌번 [로고 플러스]
차병직, 윤재왕, 윤지영 저 | 2016년 11월 18일 | 18000 원
1125
헌법은 한 국가의 상징이자 실체다. 헌법은 그 주체이자 구성원인 시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그것의 실현을 담당하는 권력기관의 설치와 운영을 규정한다. 헌법만 잘 작동한다면 우리는 국민주권, 권력분립, 법치주의 등이 보장된 민주공화국 시민으로 저마다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헌법은 전문과 부칙을 제외하면 130개의 조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법제처 홈페이지에 가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한글로 된 헌법 조문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거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헌법의 행간이 담고 있는 사회적 정의와 가치까지 읽어내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길잡이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시민을 위한 헌법 해설서 『지금 다시, 헌법』은 참여연대 창립멤버이자 인권 변호사로 활동해온 차병직 변호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윤재왕 교수, 비영리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윤지영 변호사가 ‘시민의 교과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집필에 참여해, 표제부터 부칙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주석을 달았다. 최대한 …
이란-페르시아, 바람의 길의 걷다 [문학세계사]
김중식 저 | 2017년 4월 3일 | 16000원 원
1217
이란은 한국과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그 어떤 나라보다 멀게 느껴진다. 아프리카와 남미까지 다녀온 분들에게도 이란은 ‘최후의 여행지’로 여겨진다. 이란은 우리와 다른 지층 위에서 서로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세속국가의 ‘속물’들에게 이란에서의 하루하루는 문화충격의 연속이다. 낯섦과 불편을 기꺼이 감내하는 여행자에게는 이란은 매혹적인 여행지일지 모른다. 매순간 문화 다양성의 현기증 나는 롤러코스터를 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3년 6개월간(2012.3.~2015.8.) 주駐 이란 한국 대사관에서 문화홍보관으로 일한 김중식 시인(50)의 페르시아 문화 답사기다. 그곳에서 김시인은 우리 문화를 알리는 일을 했다. 그는 귀국을 앞두고 이란 버전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찾아내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하고 싶었다. 그것이 저자가 생각할 수 있고, 할 수 있는 이란에 대한 최대의 마지막 예우라고 생각했다. 그는 그러나 그런 책을 찾아내지 못했다. 추정컨대 이란에서 그런 류의 책이 나온 적…
하쿠나마타타 [발언 미디어]
이규인 저 | 2017년 3월 25일 | 14800 원
1141
저자는 태초의 세상을 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성형되기 전 지구와 인간사회의 원래 모습이 궁금해 아프리카로 갔다.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간 아프리카에서 본래의 인간과 자연을 보았고, 행복한 삶과 좋은 사회는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아프리카 여행을 통해 상처투성이 영혼을 치유하고, 특유의 원시적 에너지로 고갈된 삶의 에너지를 다시 충전했다고 증언한다. 이 책에는 8차례에 걸쳐 여행한 아프리카 15개국의 답사 이야기가 저자가 직접 촬영한 생생한 사진과 함께 담겨 있다. 빈곤과 기아로 인식된 아프리카에도 문화유산이 있을까 하는 일반상식을 깨는 놀라운 아프리카 이야기가 펼쳐진다. 저자는 북아프리카 모로코를 필두로, 문화유산의 보고 서아프리카를 거쳐, 동물의 왕국 동아프리카,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남아프리카 등 아프리카 전역을 여행했다. 저자의 여행원칙은 철저한 현지화다. 패키지여행을 피해 독립여행을 고수하며, 대중교통을 타고, 현지식을 먹고, 로컬 가이드와 …
조선의 생태환경사 [푸른역사]
김동진 저 | 2017년 2월 11일 | 20000 원
1144
목화가 불러온 변화 고려 말 문익점이 들여온 목화는 조선의 복식문화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농업 경관과 경제 시스템을 바꾸고 조선의 외교력까지 극대화하면서 동아시아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고려 말까지 비단, 모시, 삼베,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던 사람들은 목화 덕분에 바람이 잘 통하면서도 가볍고 질긴 면포로 만든 옷으로 한 해를 따뜻하고 쾌적하게 보낼 수 있었다. 여인네들은 더 오래 입을 수 있고 제작과 관리에 품이 덜 드는 면포 덕분에 옷감 짜고 바느질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기능성에 보존성까지 뛰어난 면포는 빠른 속도로 부의 축적, 부세 수취와 교환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더 넓고 크게 만들어진 면포 돛 덕분에 조선의 배는 더 커졌다. 더 많은 짐을 싣고서도 더 민첩하게 항해할 수 있었다. 일본과 여진은 중요한 국가적 자원이 된 조선의 면포를 구하는 데 사활을 걸었다. 면포는 조선에게 부를 안겨주었고, 여진과 왜구를 제어할 수 있는 외교력의 원천이 되었다. 면포 …
中國近代建築史料汇編)(1, 2輯) [상해 동제대학출판부]
동제대학출판부 저 | 2014년 8월 1일 | 18800원(인민폐) 원
1091
이 사료집성 제1집 13책은 중화민국 시기 간행된 건축월간, 중국건축이라는 정기간행물의 1932년부터 1937년까지 게재된 모든 내용을 영인한 것이다. 이 두 잡지는 근대시기 종합적인 학술지로서 중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2집 11책에는 1020년대부터 1040년대까지 상해의 도시계획, 건축활동, 건축가, 원림, 시정정책 등등의 도시, 건축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이 두 종의 사료집성은 상해시는 물론 중국근대건축을 연구하는데 학술적인 가치는 물론 사료적인 가치도 매우 높다.   
중국근대건축사 5권 [중국건축공업출판사]
賴德霖, 伍江, 徐蘇斌 주편 저 | 2016년 6월 | 666원(인민폐, 인터넷 가격) 원
1316
지난 60년여간 중국근대건축사 연구의 결과를 집대성한 것으로 31개 대학, 3개 연구원, 34개 기관 소속의 청년, 중년, 원로 등 3대에 걸친 연구자 70여명이 참여하였다. 모두 5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본문은 420여만자의 내용과 2300장의 학술적 가치가 있는 사진을 담고 있다.   제1권 문호개방: 중국성시와 건축의 서구화와 현대화제2권 다원탐색: 민국 초기 각지의 현대화 및 중국건축과학의 발전제3권 민족국가: 중국성시도시의 현대화와 연가유산제4권 모던시대: 세계현대건축 영향하의 중국성시와 건축제5권 욕정산하: 일본 침략 시기 및 항일전쟁 이후의 중국성시와 건축 
동아시아 관광의 상호시선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문옥표 외 4인 저 | 2016년 10월 31일 | 20000 원
1294
이 책은 한, 중, 일 3국을 대상으로 19세기 말 이후 등장한 근대적 관광의 전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관광을 통해 구축된 상호 간의 인식 변화를 조명하고자 한 본격 연구서이다. 한중, 한일, 중일 간에는 고대로부터 끊임없는 역사적 접촉과 상호 간 이동이 있어 왔다. 그러나 관광을 목적으로 한 여행이 시작된 것은 근대 이후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동아시아 3국 간에 근대적 관광 여행이 시작된 이래 지난 120~130여 년간 상호 방문한 여행객과 여행의 형태, 목적 등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에 따라 방문객과 방문지의 주민들 간 상호 접촉의 성격 및 내용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 책에서는 모두 다섯 개의 장에 걸쳐 한국, 중국, 일본 간에 있었던 관광 교류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적 변화를 심도 깊게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관광을 통한 한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를 다루는데, 특히 식민지 시대에 한국을 찾은 일본인의 역사적 변화와 그 함의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식…
중국고건축총서(35권) [중국건축공업출판사]
중국고건축총서편찬위원회 저 | 2015년 12월 | 9500원(인민폐) 원
1245
이 책​은 2011년부터 600여명의 고건축 전문가가 참여하여 5년간에 결쳐 집필, 완성한 것으로 전국적인 범위의 각 성, 주요도시에 대한 지방건축사를 집대성한 것이다. 총서의 전체적인 구성은 복건고건축, 내몽고고건축, 천진하북고건축, 대만고건축, 산동고건축, 귀주고건축, 서장고건축, 강소고건축, 청해고건축, 신강고건축, 영하고건축, 감숙고건축, 강서고건축, 중경고건축, 섬서고건축, 호북고건축, 상해고건축, 안휘고건축, 절강고건축, 사천고건축, 하남고건축(상, 하), 산서고건축(상, 하), 운남고건축(상, 하), 광서고건축(상, 하), 북경고건축(상, 하), 광동고건축, 요녕/길림/흑룡강고건축(상, 하), 호남고건축, 사천고건축 등으로 되어 있다.
日本の伝統木造建築―その空間と構法 [市ヶ谷出版社]
光井 渉 저 | 2016년 8월 | 2592円 원
1158
日本の気候風土の中で生き続ける伝統木造建築を読み解く。​
중국근대건축사료휘편 [중국 동제대학출판사]
鄭時齡 저 | 2014년 8월 1일 | 12800(인민폐) 원
1265
이 휘편은 모두13책으로 구성되었으며 중화민국시기에 간행되었던 건축월간과 중국건축이라는 두 잡지의 내용을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전문을 수록하고 있어 중국근대건축사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잡지에는 중국근대건축가는 물론 주요 건축물의 역사궤적을 모두 담고 있어 사료의 가치가 매우 높다.  
글쓰기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과학기술관 705호 (Tel. 02-2220-0319 | E-mail. dsharn@hanyang.ac.kr)

#705, Science & Tech. BD., Hanyang Univ. 222, Wangsimni-ro, Sungdong-gu, Seoul 133-799, Korea 개인정보 처리방침 admin